모바일 통신데이터의 위치추정정보를 이용하여 체류지(집, 직장(학교) 등) 간 통행 정보를 추출함
추정된 집과 직장(학교) 간 통행을 통근·통학으로 정의하고, 집계 수준별 평균 통근·통학시간을 산출함
분석 내용
Figure 1
2022년 2월 기준 전국 평균 통근·통학시간은 각각 약 32.3분, 33.3분이며, 수도권 지역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Figure 2
2022년 2월 기준 서울에서는 동북권, 서북권, 경기에서는 광명시, 구리시, 인천에서는 옹진군, 계양구 지역의 통근·통학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분석 자료
LG U+ 모바일통신 데이터
분석 기간
2022년 4월
분석 대상
전체 고객
분석 방법
모바일 통신데이터의 위치추정정보를 이용하여 공간단위(시도, 시군구, 행정동, Cell)별 식별된 고객 수를 집계하여 유동인구 수를 산출함
전수화된 지역별 유동인구의 주중·주말별 평균값을 산출함
분석 내용
Figure 3
2022년 4월 기준 서울에서 여의동, 역삼1동, 가산동, 종로 1·2·3·4가동 순으로 주중 유동인구가 높게 나타났다. 영등포동, 서교동, 신림동은 주중과 주말의 유동인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가양1동, 구로3동, 명동은 주중에 비해 주말의 유동인구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잠실 3동과 잠실 6동은 주중에 비해 주말의 유동 인구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