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리포트 2월호
분석 자료
분석 기간
분석 대상
분석 방법
- 모바일 통신데이터의 위치추정정보를 이용하여 체류지(집, 직장 등) 간 통행 정보를 추출함
- 추정된 집과 직장 간 통행을 출·퇴근 통행으로 정의하고, 집계 수준별 평균 통행시간을 산출함
분석 내용
Figure 1
- 2022년 1월 기준 전국 출·퇴근 평균 통행시간은 각각 31.5분, 37.9분으로 모든 지역에서 출근 시간보다 퇴근 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 수도권과 세종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출 퇴근 통행시간은 평일, 거주지 기준으로 산출한다.
출근시간 평균은 서울은 32.8분, 부산은 28.9분, 대구는 31.7분, 인천은 34.4분, 광주는 30.9분, 대전은 29.6분, 울산은 23.1분, 세종은 41.1분, 경기는 40.3분, 강원은 26.1분, 충북은 33.8분, 충남은 32.7분, 전북은 25.2분, 전남은 31.1분, 경북은 27.0분, 경남은 31.0분, 제주는 29.5분으로 나타났다.
퇴근시간 평균은 서울은 38.4분, 부산은 33.8분, 대구는 32.1분, 인천은 39.7분, 광주는 38.2분, 대전은 33.0분, 울산은 27.8분, 세종은 39.4분, 경기는 43.1분, 강원은 29.8분, 충북은 36.6분, 충남은 34.5분, 전북은 28.2분, 전남은 37.0분, 경북은 29.6분, 경남은 35.4분, 제주는 32.0분으로 나타났다.
Figure 2
- 2022년 1월 기준 서울에서는 동북권, 서남권, 경기도에서는 포천시, 가평군, 인천에서는 부평구, 연수구 지역의 평균 출·퇴근 통행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출 퇴근 통행시간은 평일, 거주지 기준으로 산출한다.
서울 구 별로 출퇴근 통행시간 평균은 도봉구 39.4분, 노원구 37.3분, 강북구 40분, 성북구 29.8분, 중랑구 36.2분, 동대문구 36.8분, 종로구 24.9분, 은평구 31.2분, 마포구 32.4분, 용산구 26.5분, 중구 24.7분, 성동구 26분, 광진구 30분, 강서구 35.1분, 양천구 35.9군, 구로구 35.3분, 금천구 34.1분, 영등포구 32.9분, 동작구 32.7분, 관악구 33.2분, 서초구 37.7분, 강남구 28.9분, 송파구 25분 ,강동구 33.2분 이다.
경기도 각 지역별로 출퇴근 통행시간 평균은 연천군 20.2분, 동두천시 36.3분, 포천시 54분, 가평군 54.8분, 양평군 48.5분, 양주시 41.2분, 의정부시 48.7분, 남양주시 48.2분, 하남시 41.2분, 광주시 42.6분, 여주시 13.9분, 이천시 34분, 성남시 44.4분, 용인시 49분, 안성시 30.7분. 과천시 42.3분, 의왕시 41.8분, 수원시 46.3분, 오산시 37분, 평택시 30.5분, 화성시 41.7분. 군포시 32.1분, 안산시 40.4분, 안양시 41.8분, 광명시 39.5분, 시흥시 38.8분, 부천시 32.3분, 김포시 41.4분, 웅진군 35.6분 ,강화군 34.2분, 고양시 41.1분, 파주시 32.6분, 인천은 남동구 30.5분, 연수구 38.8분, 부평구 42.8분, 계양구 35.2분, 중구 28.6분, 서구 36.1분, 동구 31.3분, 미추홀구 27.6분이다.
분석 자료
분석 기간
분석 대상
- 배민라이더스, 부릉, 쿠팡이츠배달파트너 앱 사용자
분석 방법
- 모바일 통신데이터 중 모바일 앱 접속기록, 위치추정정보를 이용하여 거주지 기준 한 달 단위의 총 접속 횟수, 총 근무시간, 주 단위 일 빈도, 일 평균 근무시간 등 배달 플랫폼 종사자의 근무 형태 정보를 추출함
- 일 평균 2시간 이상, 주 3회 이상 근무하는 배달 플랫폼 종사자를 주업형 종사자로 구분하고, 그 외 부업형 종사자로 구분함
분석 내용
Figure 3
- 2022년 1월 기준 전국 배달 플랫폼 종사자는 인구 1만명당 약 130명이며, 전체적 종사자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지역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주업의 형태는 세종시가, 부업의 형태는 수도권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국 배달 플랫폼 종사자 현황
2022년 1월 기준 전국 배달 플랫폼 종사자는 인구 1만명당 약 130명이며,
주업형태*는 세종시가, 부업형태는 수도권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업형 부업형
서울 주업형 12% 부업형 88%
부산 주업형 36% 부업형 64%
대구 주업형 35% 부업형 65%
인천 주업형 13% 부업형 87%
광주 주업형 20% 부업형 80%
대전 주업형 16% 부업형 84%
울산 주업형 29% 부업형 71%
세종 주업형 53% 부업형 47%
경기 주업형 15% 부업형 85%
강원 주업형 46% 부업형 54%
충북 주업형 35% 부업형 65%
충남 주업형 29% 부업형 71%
전북 주업형 28% 부업형 72%
전남 주업형 45% 부업형 55%
경북 주업형 41% 부업형 59%
경남 주업형 42% 부업형 58%
제주 주업형 31% 부업형 69%
일 평균 2시간 이상, 주 3회 이상 근무하는 배달 플랫폼 종사자를 주업형 종사자로 지정함
Figure 4
- 2022년 1월 기준 전국 배달 플랫폼 종사자의 일 평균 근무시간은 약 4.9시간이며, 수도권 및 광역시의 근무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났다.
전국 배달 플랫폼 종사자 근무여건
2022년 1월 기준 배달 플랫폼 종사자의 일 평균 근무시간은 약 4.9시간이며,
수도권 및 광역시의 근무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났다.
서울 3.6
강원 7.9
인천 4.4 경기 4.7
세종 8.2 충북 8.1
충남 7.7
경북 7.9
대전 4.9
대구 7.7
전북 8
울산 6.8
경남 8.9
광주 5.7 전남 7.6 부산 7.6
제주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