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교통선진국을 향한 선진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총 게시물 1096개 (현재페이지 19 /110)
항공·사람 주제로 문학작품 하나 쓰는 건 어떨까요? - 시·소설·수필 분야 제5회 항공문학상 공모전 실시…항공문학 발전 기대 부서:항공정책과 '항공'과 '사람'을 주제로 우리나라 국민이 손수 창작한 문학작품이라면 시, 소설, 수필 어느 분야라도 오는 15일(월)부터 시작하는 ‘제5회 항공문학상’ 에 공모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gif ---중략---
자율주행차 “보고 듣고 타고 느끼다! - '자율주행차 국제 페스티벌 2017'…토크콘서트·경진대회 등 열려 부서:자동차정책과 이달 15일(월)에서 20일(토)까지 일주일간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털, 경기도 화성 자동차안전연구원, 서울대학교 등에서 ‘자율주행차 국제 페스티벌 2017’이 개최된다. * (주최) 국토교통부 (주관)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국토교통부.gif ---중략---
자체 개발한 센서 장착한 ‘만도’ 자율주행자동차 도로 달린다 - 레이더, 카메라 등 자체 개발 센서 장착한 첫 사례…철저한 검증 중요 부서:첨단자동차기술과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국산 감지기(센서)를 장착한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 도로를 달릴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자동차 부품업체인 ‘만도’에서 신청한 시험·연구 목적의 자율주행자동차 임시운행을 허가했다. ---중략--- 내용 : 첨부파일 참조
올해 대형 철도사고 ‘제로’ 목표…2조 5천여억 원 투입 - ‘2017 철도안전 시행계획 확정’ 방호울타리 설치·지진감지시스템 확대 부서:철도안전정책과,철도운행안전과,철도시설안전과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올해 방호울타리 설치, 지진감지시스템 확대 설치, 원격시설관리시스템 시범사업 추진 등 철도안전 분야 중점대책을 담은 ‘2017년 철도안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중략--- 내용 : 첨부파일 참조
철도안전 위해 정비사 자격제·직무교육 의무화 도입 - 2021년까지 5년간 단계적 추진…안전 전문 인력 양성해 사고예방 부서:철도안전정책과,철도운행안전과 열차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한 량에 수십 명이 탑승하는 규모의 특성상 철도사고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사회적 파급력이 큰 철도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인적과실을 줄이고자 ‘철도안전 전문 인력 양성계획’을 마련해 시행한다. ---중략---...
콜밴 부당요금·견인차 난폭운전, 처벌 강화 - 위반 시 사업자에게 운행정지·감차조치, 종사자에게 자격정지·자격취소 부서:물류산업과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콜밴 또는 견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피해를 방지하고, 견인차 난폭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중략--- 내용 : 첨부파일 참조
삼성전자 개발 중인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 - 국내 전자업계 최초… 실제 도로 주행하며 인공지능·딥 러닝 기술 등 개발 부서:첨단자동차기술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연구 개발 중인 딥 러닝 기반의 시스템이 적용된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 도로를 달릴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삼성전자가 신청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임시운행을 허가했다. ---중략--- 내용 : 첨부파일 참조
‘똑똑한 항공교통시스템’으로 지연·결항 줄이고 안전 높인다 - 정보통신기술 융·복합해 디지털 정보 교신·다양한 하늘 길 구축 부서:항공관제과 인공위성과 같은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항공기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찾을 수 있고, 구름이 가득한 하늘에서도 항공로를 잘 찾을 수 있는 항공교통시스템이 갖춰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가 미래 항공교통수요에 대비하고, 항공안전 강화와 운항 효율성 제고 등 항공여건 &...
국토부, 자율주행차 대비 보험제도 개선 연구 착수 - 자율주행차 사고 책임 논란 해소를 위한 국내 첫 보험제도 연구 용역 추진 부서:자동차운영보험과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자율주행차 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을 위한 보험제도 및 법령 개선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용역을 통해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따른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과 사고피해자 보호를 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