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21세기 교통선진국을 향한 선진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재미있는 교통통계

검색 폼 RSS

총 게시물 70개 (현재페이지 5 /7)

  • 30
    • 장동익(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6.04.08

    1. 공공자전거 - 전국 공공자전거 현황에 대한 통계는 행정자치부 내부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교통DB센터에서 2010년~2011년에 작성이 되었으나 현재 통계생산이 중단된 상황임 - 공공자전거 현황은 2016년 3월 1일 기준으로 자전거 대여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가 있는 무인 공공자전거만을 대상으로 한정하였음 (유인 대여소는 제외함) - 전 세계 공용자전거 현황은 Citybikes의 API를 이용하여 대여소의 위치와 실시간 대여 가능한 자전거 수, 반납...

    공공자전거 (수정) 이미지
  • 29
    • 고두환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6.02.29

    우리나라 대중교통요금 추이와 국가간 요금 비교 버스는 1년간 약 62억명, 일평균 1천7백만명, 철도는 2014년 기준 1년간 약 38억명, 일평균 천만명 이상 이용하는 우리나라 주요 대중교통 수단이다. 이번 스토리에서는 우리나라 대중교통 이용 요금 추이를 살펴보고, 해외 주요국가 요금과 비교 해보고자 한다. 분석자료 대중교통요금정보 2014 국가교통통계,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 DB사업단 영국 교통국, https://tfl.gov.uk/ KOTRA 해외 비지니스정보...

    우리나라 대중교통요금 추이와 국가간 요금 비교 이미지
  • 28
    • 고두환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5.12.15

    지난 10월 KTDB STORY에서 분석 했던 “도시철도역 유형별 건축물 용도현황”1)에 이어 이번 12월호에서는 도시 철도역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1) KTDB 뉴스레터 2015년 10월호 참고 2) 경전철 포함 분석개요 분석자료 : ① KTDB 2013년도 대중교통 GIS DB 중 철도 노드, ② 도로명주소전자지도 (2015년 9월말 기준 건축물, 행정경계) 분석범위 : 전국 도시철도역(경전철 포함) 분석방법 : GIS(ArcMap)를 이용한 공간분석 분석내용 : 도시철도역 반경 ...

    우리나라 도시철도역 주변 건축물 용도 분석② 이미지
  • 27
    • 고두환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5.10.15

    철도는 2013년 기준 1년간 약 37억명, 1일평균 천만명1) 이상이 이용하는 우리에게 친숙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우리나라 도시철도2)는 서울지하철이 1974년 최초로 개통한 이후 현재까지 9개 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용인, 의정부, 김해)에서 운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부산-김해를 시작으로 의정부, 용인에 경전철이 차례로 개통함에 따라 도시내 철도 생활권이 점차 확장되는 추세이다. 이번 STORY에서는 “서민의 발”로 자리 잡은 도...

    우리나라 도시철도역 주변 건축물 용도 분석 이미지
  • 26
    • 고두환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5.08.15

    2014년 국가교통통계에 따르면, 버스, 철도 등의 대중교통망 확충에 따라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지속적인 증가추이를 나타내며, 2004년 대비 2013년 여객수단별 수송실적 증가율은 버스(25.8%), 철도(25.3%), 항공(18.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일반철도 중에서 KTX 분담률은 2005년 28.1%에서 2단계 개통 이후 2013년 41.3%로 많이 증가하였다. 이번 재미있는 통계이야기에서는 대중교통으로 분류되는 철도와 버스를 수단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 수...

    우리나라 대중교통 수단별 수송실적의 과거와 현재 이미지
  • 25
    • 고두환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5.06.15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수(10.8명) 1위 국가이다(2012년 기준). 이는 일본(4.1명)에 비해 무려 2배 이상 높고, 하위권 국가인 영국(2.8명)에 비해 3배 이상 높다. 통계수치에서 보여주듯이 우리나라 교통안전에 대한 여건은 세계 다른 국가(OECD)에 비해 좋지 않은 실정이다. 이번 STORY에서는 교통안전과 관련된 주요 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고, 동시에 교통관련 재정지출과 교통사고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주) 인구...

    대한민국 교통안전 YES or NO 이미지
  • 24
    • 고두환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5.04.15

    대한민국 행정의 중심 ‘세종시대’ 개막과천청사시대 vs 세종청사시대 교통접근성 특성 비교 지난 2005년 10월 ‘중앙행정기관 등의 이전계획’ 고시를 시작으로 2014년 12월 정부세종청사가 완공되었고 계획된 모든 정부기관이 입주를 끝마쳤다. 총 18개 중앙부처와 18개 소속기관, 약 1만 3천여 명의 공무원이 근무하는 대한민국 행정의 중심 세종 시대의 개막에 따라 과거 ‘과천청사 시대’와 현재 ‘세종청사 시대’의 교통접근성 현황을 비교·...

    과천청사시대 vs 세종청사시대 교통접근성 특성 비교 이미지
  • 23
    • 고두환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5.01.15

    2014년 12월말 우리나라 자동차 누적 등록 대수는 2013년도보다 71만 7천 대(3.7%) 늘어난 20,117,955대로 집계되었다. 국내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 2천만 시대에 진입에 따라 자동차등록현황을 차량특성별, 지역별, 도시특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고자한다. 자료 : 자동차등록현황,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 자동차등록 추이 용도별 자동차등록 증가율 추이(5년간, 2010~2014년) 주1) 분석에는 각 년도 12월 기준 자동차등록대수 총계 사용 주2) 증가...

    자동차 2천만 시대 국내 자동차등록 현황 특성 이미지
  • 22
    • 정재훈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4.11.15

    2014년은 수도권 도시철도 개통 40주년이다. 지하철 1호선 개통 이후 많은 도시철도 노선이 개통되어 수도권지역의 교통서비스를 공급해 왔다. 자료출처: 한국철도통계연보(1980년~2013년), 수도권전철 선별 여객 수송실적(인원, 인거리) 주1) 권역별 수송동향은 2014년 현재 24개 노선을 대상으로 서울권 도시철도(지하철 1호선~9호선), 인천권 도시철도(인천1호선, 경인선, 공항철도. 단, 경전철 제외), 경기권 도시철도(경부선, 장항선, 경의선, 경원선, ...

    수도권 도시철도 수송특성 분석 이미지
  • 21
    • 정재훈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황순연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4.09.15

    2014년 9월 18일은 철도의 날(115주년)로 올해는 한국고속철도(KTX)가 개통된지 10주년, 도시철도 개통 40주년을 맞는 해이다. 한국의 철도 개통과 폐쇄에 따른 수송실적 및 노선별 분담률의 변화를 시계열 자료를 근거로 다양하게 분석해 보았다. 참고자료 : 철도통계연보(1977~2013년), 코레일 철도 수송실적 추이 승객 1인당 평균 통행거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며, 특히 1977년 대비 2013년 1인당 평균 통행거리가 1.8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

    철도 개통에 따른 수송량 변화 이미지

이 페이지를 보시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빠른 답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