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교통선진국을 향한 선진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총 게시물 70개 (현재페이지 3 /7)
화물자동차 주 거래업종, 통행행태, 적재 및 공차 통행수 화물자동차 적재능력별 적재톤수, 통행시간 및 통행거리 물류거점별 화물자동차 통행시간대 분포 주요 철도역별 물동량(2016년 기준) 주요 항만별 연안 물동량(2016년 기준) 주요 공항별 국내선 화물물동량(2016년 기준) 전국 고속도로 화물자동차 교통량 분포 현황(2016년 기준) 연간 택배 물동량 및 매출액 추이
우리나라 통행특성의 변화 전국 총 통행량 출근 통행 통행목적별 출발시각 승용차 평균 탑승인원 성별, 연령별 통행특성 65세 이상 고령인구 통행 지역간 도로 시군간 교통량
국제 교통 안전 통계 범 국가적으로 교통 안전도 향상을 위해 음주운전 측정 및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OECD 국가 및 비OECD 국가 비교분석을 통해 국가별 현 상태를 진단하고자 함 음주 운전 측정은 운전자의 최대 공인 혈중 알코올 함량(Blood Alcohol Concentration;이하 BAC)을 설정 사고 발생시 차량탑승자의 생명을 구하고 충돌 상해의 심각성을 줄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안전벨트 사용률 비교분석을 실시 PART1. ...
인천국제공항 수·출입 화물의 운송특성은? 우리나라 항공 수·출입 화물의 주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의 화물 운송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1.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수·출입 화물 처리실적은? 인천국제공항의 수·출입 화물 물동량은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추세 (수출물동량 > 수입물동량) - 수출물동량 2010년 최고치(약 144만 톤/년) 달성, 최근(2015년)에 약 134만 톤/년 운송 - 수입물동량 최근 2015년 최고치(약 126만 톤/년) 달성 2. 세계 유수 공항 �...
텅 빈 상태로 운행하는 화물차 ■ 화물차의 하루평균 통행회수는 2.95회(적재통행 1.6회, 공차통행 1.4회) ■ 공차통행이란 화물차가 화물을 싣지 않고 운행한다는 의미 ■ 공차통행 비율이 높을수록 물류시스템이 비효율적이라는 의미 PART1. 화물차의 공차통행 비율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약 42,000대의 화물차가 하루 동안 약 13만회의 통행을 하는데 이 중 공차통행의 비율은 45.2%로 매우 높게 나타남 PART2. 어떤 화물차가 공차통행을 하나? 공...
운전자들의 경차에 대한 인식 및 향후 개선해야 할 사항은? 2016년 9월 기준 자동차는 전체 등록차량이 2천만 시대에 돌파했으나, 경차 등록대수는 약 173만대(8.0%)로 매우 낮은 보유수준을 보임 정부에서는 ‘경차 이용 활성화’를 위해 등록비, 유류개별소비세, 통행료 등 의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였으나, 실제 경차 구매는 감소하고 있음 이러한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경차는 에너지 절약, 이산화탄소 감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
고령 운전자에 대한 인식과 안전대책 방안은? 2015년 현재 고령 운전자 인구비율은 전체 운전자(약 3,029만명) 중 6.7%(약 203만명)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고령화 추세에 따라 이들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경찰통계자료 2015; 재구성) 이와 더불어, 3년간(2013~2015년 기준) 사고 발생 건수는 6만여 건으로 매년 13% 정도 고령 운전자 사고가 늘고 있는 추세임 따라서, 고령 운전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후, 고령운전자를 위한 안전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해외 주요 국가별 철도수송 현황 비교 ■ 해외 주요 국가의 지난 10년간 지역간 철도의 수송현황 변화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운영성과지표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 ■ 해외는 국제철도연맹(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의 국제철도통계, 국내는 철도통계연보를 이용하였고 철도 수송현황과 관련한 운영성과지표로 수송단위, 단위수송거리, 수송밀도, 고용자수, 인력당 수송단위를 분석 - 수송단위: 수송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승객수...
도로종류별 교통사고 현황(2015년 기준) ■ 1997년 전국의 자동차등록대수가 1,000만대를 돌파하였고, 2015년 20,989,885대의 자동차등록대수를 기록하는 등 자동차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 자동차가 우리 생활과 문화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으면서 생활과 문화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우리나라는 2011년 인구 100만명 당 105명 교통사고 사망자가 발생되어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안전 취약국이다. ■ 우리나라의 교통사고에 가장 취약한 부분을 ...
우리 나라 도로 보급 현황 최근 10년 도로 연장 - 우리나라 도로 총연장은 2015년 107,527km로 2006년 102,061km에 비해 5% 증가 · 고속국도 : 2006년 3,103km → 2015년 4,193km (35% 증가) · 일반국도 : 2006년 14,225km → 2015년 31,948km (2% 감소) · 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포함) : 2006년 17,677km → 2015년 18,087km (2% 증가) · 특별광역시도(구도 포함) : 2006년 17,738km → 2015년 20,313km (15% 증가) · 시군도 : 2006년 49,319km → 2015년 50,985km (3% 증가) 도로에 대한 감당 인구 부하�...
이 페이지를 보시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빠른 답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