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21세기 교통선진국을 향한 선진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재미있는 교통통계

검색 폼 RSS

총 게시물 70개 (현재페이지 3 /7)

  • 50
    • 국가교통DB
    • 2018.08.03

    화물자동차 주 거래업종, 통행행태, 적재 및 공차 통행수 화물자동차 적재능력별 적재톤수, 통행시간 및 통행거리 물류거점별 화물자동차 통행시간대 분포 주요 철도역별 물동량(2016년 기준) 주요 항만별 연안 물동량(2016년 기준) 주요 공항별 국내선 화물물동량(2016년 기준) 전국 고속도로 화물자동차 교통량 분포 현황(2016년 기준) 연간 택배 물동량 및 매출액 추이

    2017년 국내 화물운송의 현주소 (Freight in KOREA 정책자료집 발췌) 이미지
  • 49
    • 국가교통DB
    • 2018.08.03

    우리나라 통행특성의 변화 전국 총 통행량 출근 통행 통행목적별 출발시각 승용차 평균 탑승인원 성별, 연령별 통행특성 65세 이상 고령인구 통행 지역간 도로 시군간 교통량

    우리나라 국민 이렇게 움직인다 (여객통행실태 Index book 정책자료집 발췌) 이미지
  • 48
    • 신동찬
    • 2017.03.27

    국제 교통 안전 통계 범 국가적으로 교통 안전도 향상을 위해 음주운전 측정 및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OECD 국가 및 비OECD 국가 비교분석을 통해 국가별 현 상태를 진단하고자 함 음주 운전 측정은 운전자의 최대 공인 혈중 알코올 함량(Blood Alcohol Concentration;이하 BAC)을 설정 사고 발생시 차량탑승자의 생명을 구하고 충돌 상해의 심각성을 줄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안전벨트 사용률 비교분석을 실시 PART1. ...

    국제 교통 안전 통계 이미지
  • 47
    • 변상진
    • 2017.03.02

    인천국제공항 수·출입 화물의 운송특성은? 우리나라 항공 수·출입 화물의 주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의 화물 운송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1.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수·출입 화물 처리실적은? 인천국제공항의 수·출입 화물 물동량은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추세 (수출물동량 > 수입물동량) - 수출물동량 2010년 최고치(약 144만 톤/년) 달성, 최근(2015년)에 약 134만 톤/년 운송 - 수입물동량 최근 2015년 최고치(약 126만 톤/년) 달성 2. 세계 유수 공항 �...

    인천국제공항 수·출입 화물의 운송특성은? 이미지
  • 46
    • 우왕희 Post-Doc
    • 2017.02.01

    텅 빈 상태로 운행하는 화물차 ■ 화물차의 하루평균 통행회수는 2.95회(적재통행 1.6회, 공차통행 1.4회) ■ 공차통행이란 화물차가 화물을 싣지 않고 운행한다는 의미 ■ 공차통행 비율이 높을수록 물류시스템이 비효율적이라는 의미 PART1. 화물차의 공차통행 비율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약 42,000대의 화물차가 하루 동안 약 13만회의 통행을 하는데 이 중 공차통행의 비율은 45.2%로 매우 높게 나타남 PART2. 어떤 화물차가 공차통행을 하나? 공...

    텅 빈 상태로 운행하는 화물차 이미지
  • 45
    • 주진호 연구원
    • 2017.01.20

    운전자들의 경차에 대한 인식 및 향후 개선해야 할 사항은? 2016년 9월 기준 자동차는 전체 등록차량이 2천만 시대에 돌파했으나, 경차 등록대수는 약 173만대(8.0%)로 매우 낮은 보유수준을 보임 정부에서는 ‘경차 이용 활성화’를 위해 등록비, 유류개별소비세, 통행료 등 의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였으나, 실제 경차 구매는 감소하고 있음 이러한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경차는 에너지 절약, 이산화탄소 감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

    운전자들의 경차에 대한 인식 및 향후 개선해야 할 사항은? 이미지
  • 44
    • 주진호 연구원
    • 2017.01.20

    고령 운전자에 대한 인식과 안전대책 방안은? 2015년 현재 고령 운전자 인구비율은 전체 운전자(약 3,029만명) 중 6.7%(약 203만명)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고령화 추세에 따라 이들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경찰통계자료 2015; 재구성) 이와 더불어, 3년간(2013~2015년 기준) 사고 발생 건수는 6만여 건으로 매년 13% 정도 고령 운전자 사고가 늘고 있는 추세임 따라서, 고령 운전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후, 고령운전자를 위한 안전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고령 운전자에 대한 인식과 안전대책 방안은? 이미지
  • 43
    • 김병관 Post-Doc
    • 2017.01.06

    해외 주요 국가별 철도수송 현황 비교 ■ 해외 주요 국가의 지난 10년간 지역간 철도의 수송현황 변화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운영성과지표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 ■ 해외는 국제철도연맹(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의 국제철도통계, 국내는 철도통계연보를 이용하였고 철도 수송현황과 관련한 운영성과지표로 수송단위, 단위수송거리, 수송밀도, 고용자수, 인력당 수송단위를 분석 - 수송단위: 수송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승객수...

    해외 주요 국가별 철도수송 현황 비교 이미지
  • 42
    • 탁지훈 연구원
    • 2017.01.03

    도로종류별 교통사고 현황(2015년 기준) ■ 1997년 전국의 자동차등록대수가 1,000만대를 돌파하였고, 2015년 20,989,885대의 자동차등록대수를 기록하는 등 자동차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 자동차가 우리 생활과 문화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으면서 생활과 문화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우리나라는 2011년 인구 100만명 당 105명 교통사고 사망자가 발생되어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안전 취약국이다. ■ 우리나라의 교통사고에 가장 취약한 부분을 ...

    도로종류별 교통사고 현황(2015년 기준) 이미지
  • 41
    • 김동호 주임전문원, 정승연 연구원
    • 2017.01.02

    우리 나라 도로 보급 현황 최근 10년 도로 연장 - 우리나라 도로 총연장은 2015년 107,527km로 2006년 102,061km에 비해 5% 증가 · 고속국도 : 2006년 3,103km → 2015년 4,193km (35% 증가) · 일반국도 : 2006년 14,225km → 2015년 31,948km (2% 감소) · 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포함) : 2006년 17,677km → 2015년 18,087km (2% 증가) · 특별광역시도(구도 포함) : 2006년 17,738km → 2015년 20,313km (15% 증가) · 시군도 : 2006년 49,319km → 2015년 50,985km (3% 증가) 도로에 대한 감당 인구 부하�...

    우리 나라 도로 보급 현황 이미지

이 페이지를 보시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빠른 답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