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21세기 교통선진국을 향한 선진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재미있는 교통통계

검색 폼 RSS

총 게시물 70개 (현재페이지 1 /7)

  • 70
    • 원민수 부연구위원
    • 2025.04.07

    모빌리티 리포트 분석 자료 LG U+ 모바일통신 데이터 분석 기간 2022년 1월 분석 대상 전체 고객 분석 방법 모바일 통신데이터의 위치추정정보를 이용하여 체류지(집, 직장 등) 간 통행 정보를 추출함 추정된 집과 직장 간 통행을 출·퇴근 통행으로 정의하고, 집계 수준별 평균 통행시간을 산출함 분석 내용 Figure 1 2022년 1월 기준 전국 출·퇴근 평균 통행시간은 각각 31.5분, 37.9분으로 모든 지역에서 출근 시간보다 퇴근 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 ...

    2022년 1월 기준 출퇴근 통행시간 및 배달 플랫폼 종사자 현황 이미지
  • 69
    • 원민수 부연구위원
    • 2025.04.07

    모빌리티 리포트 분석 자료 LG U+ 모바일통신 데이터 분석 기간 2022년 2월 분석 대상 전체 고객 분석 방법 모바일 통신데이터의 위치추정정보를 이용하여 체류지(집, 직장(학교) 등) 간 통행 정보를 추출함 추정된 집과 직장(학교) 간 통행을 통근·통학으로 정의하고, 집계 수준별 평균 통근·통학시간을 산출함 분석 내용 Figure 1 2022년 2월 기준 전국 평균 통근·통학시간은 각각 약 32.3분, 33.3분이며, 수도권 지역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

    2022년 2월 전국 통근 통학 시간 및 지역별 유동인구 이미지
  • 68
    • 황순연 _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박정하 _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
    • 2025.04.07

    우리나라 자동차 등록대수 2000년 12,059천대에서 2010년 17,941천대로 10년 동안 48.8% 증가했다. 도시지역의 자동차 등록대수 2000년 5,606천대에서 2010년 7,535천대로 증가했다.(도시 : 특별·광역시 대상) 도시지역 비중 전체등록대수에서 도시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했다. 도시거주 가구당 평균 자동차 등록대수 2000년 0.81대에서 2010년 0.95대로 증가, 울산이 1.20대/가구로 가장 높고, 서울이 0.84대/가구로 가장 낮다.(단위 : 대/가구) 도시거...

    우리나라 지난 10년간 자동차 대수 얼마나 증가했을까? 이미지
  • 67
    • 황순연 _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박정하 _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
    • 2025.04.07

    우리나라 평균 재차인원 2010년 수행된 가구통행실태조사 결과를 근거로 평균 재차인원1)을 산출 재차인원조사는 도로의 주요지점에서 관측조사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조사는 조사 대상자들이 가구통행 설문지에 직접 기입한 내용을 근거로 작성되었다. 재차인원: 차량에 탑승한 인원수를 뜻함. 가구통행실태조사 기반 재차인원과 재차인원조사 기반의 재차인원은 조사방법 차이로 인해 재차인원 결과값에 차이가 있으므로 유의할 것 ...

    우리나라 재차인원 특성 이미지
  • 66
    • 2023년 국가교통통계
    • 2025.02.04

    사고건수 도로 교통사고건수는 2023년 198,296건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 철도 교통사고건수는 2023년 68건으로 전년 대비 13.9% 감소 항공 교통사고건수는 2023년 6건으로 전년 대비 변화 없음 해운 교통사고건수는 2023년 3,092건으로 전년 대비 8.0% 증가 사상자수 도로 교통사고 사상사수는 2023년 286,350명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 철도 교통사고 사상사수는 2023년 35명으로 전년 대비 48.5% 감소 항공 교통사고 사상사수는 2023년 5명으로 전년 대비 44.4% ...

    교통수단별 교통사고발생건수 및 사상자수 이미지
  • 65
    • 2023년 국가교통통계
    • 2025.02.04

    2022년 교통 수단별 분담률 2022년 여객 총 수송인원 약 365억명, 전년대비 6.8% 증가 2022년 여객 총 수송거리 4,833억인-km, 전년대비 8.4% 증가 수단별 수송분담률(수송인원)은 승용차 68.7% 증가, 택시 6.8% 감소, 버스 12.1% 증가, 철도 12.3% 증가, 항공 0.10% 증가, 해운 0.04% 증가

    교통 수단별 분담률 이미지
  • 64
    • 2022년 국가교통통계
    • 2025.02.04

    2022년 월평균 가구소비지출액 2022년 월평균 가구소비지출액은 전년대비 5.82%(15만원) 증가한 264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숙박 396,793원(1위), 식료품, 비주류음료 389,524원(2위), 교통 316,084원(3위) 순임 식료품, 비주류음료 381,056원, 주류, 담배 39,083원, 의류, 신발 136,151원, 주거,수도, 광열 302,333원, 가정용품, 가사서비스 117,313원, 보건 231,905원, 교통 316,084원, 통신 128,167원, 오락, 문화 168,837원, 교육 203,735원, 음식, 숙박 396,793원, 기타상품, 서비스 210...

    교통부문 가구소비지출액 이미지
  • 63
    • 2022년 국가교통통계
    • 2025.02.04

    2022년 자동차 등록현황 자동차 등록현황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자동차의 등록대수는 국산차 2,231만대(87%), 수입차는 319만대(13%)로서, 수입차 비중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임 2000년 국산차 11,991,584대, 수입차 67,692대, 2005년 국산차 15,217,776대, 수입차 178,939대, 2010년 국산차 17,423,034대, 수입차 518,322대, 2015년 국산차 19,600,224대, 수입차 1,389,661대, 2020년 국산차 21,683,925대, 수입차 2,682,054대, 2021년 국산차 21,965,411대, 수입차 2,945,690대, 2022년 국산차 22,312,7...

    자동차 등록현황 이미지
  • 62
    • 교통빅데이터연구본부 홍성표 연구원, 장동익 부연구위원
    • 2024.05.30

    생활서비스시설 교통접근성 진단 교통빅데이터연구본부 홍성표 연구원 장동익 부연구위원 의료시설과 판매시설로의 승용차 및 대중교통(도보 포함)을 이용한 시설별 접근시간 분석 행정구역 기준시점 : 2019년 12월 기초 분석단위 : 집계구 단위 시설기준 공공의료/병·의원 : 보건소 등 공공의료시설과 '내과' 진료가 가능한 병·의원 (종합병원 제외) 종합병원 : : 의 의료법 」 제3조에 제시된 의료기관 중 종합병원 판매시설: 「유통산업발전�...

    생활서비스시설 교통접근성 진단 이미지
  • 61
    • 이해선
    • 2022.05.09

    본 게시글의 원문보고서는 ‘모바일 Mobility Report(사람의 이동을 한 눈에 알아보다)’ 입니다. (URL : https://www.ktdb.go.kr/www/selectPblcteWebView.do?key=40&pblcteNo=406&pageUnit=10&pageIndex=1&searchCnd=all&searchLclasCode=PBL04)

    출근 퇴근 소요시간이 가장 긴 지역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