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교통선진국을 향한 선진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교통수요예측 과정 기준연도의 토지이용, 사회경제지표, 교통체계를 분석 - 개략적 교통수요추정 기법 - 순차적 모형(sequential madel) - 통합모형(combined model) - 활동기반모형(activiti-based model) 정산하여 목표연도의 토지이용, 사회경제지표, 교통체계를 예측 - 개략적 교통수요추정기법 - 순차적 모형(sequential madel) - 통합모형(combined model) - 활동기반모형(activiti-based model)
4단계교통수요예측과정설명 첫 번째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발생량 A에서 나가는 방향의 화살표 30통행, B에서 나가는 방향의 화살표 45통행, 도착량 A로 들어오는 방향의 화살표 35통행, B로 들어오는 방향의 화살표 40통행 두 번째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 A에서 A로의 통행 20, A에서 B로의 통행 10, A 발생통행 합계 30, B에서 A로의 통행 15, B에서 B로의 통행 30, B 발생통행 합계 45, A 도착통행 합계 35, B 도착통행 합계 40, 총 통행량 75가 표로 정리되어 있다. A와 A, A와 B, B와 B가 서로간에 통행을 뜻하는 화살표로 연결되어 있다 세 번째 수단분담(Modal Split), 두 번째에서 설명한 통행분포의 B에서 A간 통행 15가 승합차 8, 택시 2, 버스 5 통행의 세 가지의 수단으로 나누워져 있다. 네 번째 통행배정(Trip Assignment), 세 번째 수단분담의 승합차 8 통행이 노선a 5통행, 노선b 3통행으로 나누워져 있다. 노선a는 출발지(A)에서 도착지(B)로의 노선 중 위에 있는 노선이고, 노선b는 아래에 있는 노선이다.
이 페이지를 보시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빠른 답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