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DB 소개

21세기 교통선진국을 향한 선진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사업의 주요 활용

국가교통 DB사업의 주요활동 중앙정부:국가기간교통망계획 수립, 국가도로, 철도, 물류, 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지방자치단체:지자체별 교통계획수립, 지자체 물류기본계획수립. 산업체,기업체:교통관련 산업 수요분석, 물류네트워크의 효율성분석. 공공기관,연구소,학계:교통관련 정책개발, 학술연구, 예비타당성조사, 수요재검증

정부의 법정 교통계획에 활용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중기교통시설투자계획, 복합환승센터 개발기본계획, 지능형 교통체계 개발계획 등 각종 주요 계획에 활용

개별 교통SOC사업의 수요예측에 활용

정부의 개별 SOC 타당성 평가에 활용

  •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17조, 제18조에 의해 적용
  • 교통시설투자평가제도와 예비타당성 제도 비교
정부의 개별 SOC 타당성 평가에 활용 - 구분, 교통시설투자평가제도, 예비타당성조사제도를 안내합니다.
구분 교통시설투자평가제도 예비타당성조사제도
주무부처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근거법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국가재정법
목적
  • 국가교통체계의 효율적 구축 등 국가교통정책 달성도모
  • 투자우선순위 조정 등 교통시설투자 효율화
효율적인 예산편성 등 재정운영 도모
적용시기
  • 중장기 계획 수립단계
  • 본 타당성 평가 단계
예산 편성단계
평가대상 300억원 이상 투자사업 500억원 이상 투자사업
분석수준 교통계획모형 등을 활용하여 종합적, 전문적 상세 분석 예비적 타당성 분석
교통수요분석 국가교통DB 활용 국가교통DB 활용
평가방법
  • 단일사업 : 경제적 타당성 평가위주로 하되 정책적 타당성평가도 포함
  • 수단내, 수단간 다수사업 : 투자우선순위 종합평가 ․경제성, 지역경제파급효과, 교통네트워크효과 기타
  • 단일사업 : 경제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평가(AHP기법)
  • 수단내, 수단간 다수사업 : 미실시
평가기관
  • 평가업무대행자
  • 전문인력을 갖춘 자(엔지니어링 업체, 교통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

정부의 특별교통대책의 수립에 활용

설명절, 하계휴가, 추석명절기간 특별 교통대책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17조, 제18조에 의해 적용

핵안보, G20 정상회의 등 국가 Big Event 기간의 교통대책

교통수요관리정책에 활용

  • 차량 5부제 및 2부제의 효과 모니터링
  • 유가변화에 대한 차량이용수요 변화 모니터링
  • Special Event 및 5월 Golden week 기간의 교통수요모니터링
  • Network에서 수용가능한 수요규모추정
  • Network capacity를 넘어서는 특별한 이유와 관리
  • 주차정책 변화 등에 혼잡수준(수요변화) 모니터링

정부의 교통유발부담금제도에 활용

교통유발부담금 산정기준중 단위부담금 개편에 따른 제도 실효성강화를 위한 교통유발계수 개선

  • 교통유발원단위조사 결과를 활용한 교통유발계수 산정방안 연구
  • 교통유발실태 조사방법 연구 및 산정기준 개선과 교통유발계수 개정 추진에 활용
주요 5대 용도시설 교통유발원단위 비교_평일/주말기준 - 평일기준 사람유발원단위 : 판매, 의료, 관람집회, 업무, 숙박 순/차량유발원단위 : 판매, 의료, 업무, 관람집회, 숙박 순으로 분석되었다. -주말기준 교통유발원단위(사람/차량):요일별 비교 결과 토>일>평일 순으로 나타났다. -사람유발원단위(단위:인/1,000㎡)·일 -차량유발원단위(단위:인/1,000㎡)·일 -변동계수, 주:교통유발량과 연면적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여 교통유발원단위 설명변수로 선정(상관도:연면적, 고용자수, 특성변수 순임), 그래프화면 -판매시설(평일:사람유발원673.7(0.80), 차량유발원146.5(0.83)), (토요일:사람유발원985.4(0.68), 차량유발원209.9(0.77)), (일요일:사람유발원962.3(0.58), 차량유발원203.7(0.81), 관람집회시설(평일:사람유발원325.1(1.03), 차량유발원63.0(0.87)), (토요일:사람유발원588.6(1.44), 차량유발원96.5(1.10)), (일요일:사람유발원517.4(1.41), 차량유발원96.5(1.10)), 숙박시설(평일:사람유발원174.7(0.50), 차량유발원50.3(0.53)), (토요일:사람유발원255.6(0.50), 차량유발원68.0(0.66)), 업무시설(평일:사람유발원312.6(0.67), 차량유발원66.0(0.84)), 의료시설(평일:사람유발원511.4(0.44), 차량유발원108.3(0.53))
주요 5대 용도시설 교통유발원단위 비교 (평일/주말기준)

정부의 지속가능도시 및 지속가능교통정책에 활용

사용되는 주요 지표들

전국 및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 전국, 시도 및 지자체 대중교통분담률 및 수송실적

교통수단이용실태조사

전국, 대도시권 분기별 수송실적과 분담률(도보, 자전거 포함)

관련 법적근거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3조에 근거한 ‘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지침’
  • 「지속가능교통물류발전법」제15조에 의거한 지자체 교통물류체계 지속가능성 평가

정부의 대중교통정책에 활용

지역간 대중교통 서비스 수요와 공급실태

  • 노선별/서비스 종류별 운행경로와 운행빈도
  • GIS Map book 활용
일반버스 노선수 분석 이미지
일반버스 노선수 분석
일반버스 운행횟수 분석 이미지
일반버스 운행횟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