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21세기 교통선진국을 향한 선진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재미있는 교통통계

해외 주요 국가별 철도수송 현황 비교

  • 연구원 : 김병관 Post-Doc
  • 작성일 : 2017.01.06
해외 주요 국가별 철도수송 현황 비교  이미지

해외 주요 국가별 철도수송 현황 비교

■ 해외 주요 국가의 지난 10년간 지역간 철도의 수송현황 변화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운영성과지표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
■ 해외는 국제철도연맹(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의 국제철도통계, 국내는 철도통계연보를 이용하였고 철도 수송현황과 관련한 운영성과지표로 수송단위, 단위수송거리, 수송밀도, 고용자수, 인력당 수송단위를 분석
- 수송단위: 수송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승객수송과 화물수송별로 승객*km와 화물*km로 산출
- 단위수송거리: 수송단위당 수송거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승객과 화물의 수송단위별 장단거리의 통행특성을 파악
- 수송밀도: 철도 단위연장에 대한 승객과 화물의 수송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철도시설의 생산성 척도
- 총 고용자수: 직접적인 운영성과지표는 아니지만 철도조직의 직접 고용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척도
- 인력당 수송단위: 고용자 1인에 대한 여객과 화물의 수송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력의 생산성 척도



PART1. 우리나라 철도시설은 얼마나 보급되어있나?

우리나라의 인구당, 국토면적당 철도시설 보급은 유럽이나 일본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남



PART2. 여객수송량 및 1인당 단위수송거리 비교

철도 여객수송량은 이탈리아, 스페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증가하여 왔으며 영국이 가장 큰 증가를 보이고 우리나라도 많은 증가를 보임
국토면적이 넓은 중국이 월등히 높은 장거리 통행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유럽보다는 짧으나 일본보다는 긴 수송거리 특성을 보임
일본이 가장 많은 승객수송량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수송거리가 짧은 것은 세밀한 철도 시설의 보급과 함께 철도이용 유도정책이 잘 시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임



PART3. 화물수송량 및 톤당 단위수송거리 비교

철도 화물수송량은 대부분의 국가가 감소하여 국내외적으로 철도의 화물수송 경쟁력이 공로에 비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화물수송량은 많으나 수송단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남
화물의 경우도 중국이 높은 장거리 통행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여객과 반대로 일본보다는 짧은 수송거리를 보임



PART4. 철도 수송밀도 비교

철도시설의 생산성을 비교할 수 있는 단위 선로연장에 대한 수송량인 철도수송밀도를 비교해 보면 중국이 월등히 높은 수송밀도를 보이며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 국가가 다른 유럽국가에 비해 높은 철도시설 생산성을 보임


PART5. 고용자수 및 인력당 수송단위 비교

철도운영에 대한 고용현황과 노동 생산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설관리자(우리나라의 경우 철도시설공단)의 인력을 제외한 운영기관의 인력만을 고려함
대부분 국가에서 철도산업 인력 효율화 정책의 영향으로 고용자수가 감소하고 있으나 외주화에 따른 직접 고용의 감소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고용 인력당 수송단위를 보면, 일본이 가장 적은 인력으로 많은 수송량을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나 노동생산성이 가장 높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보임
직접 고용에 의한 노동생산성은 높으나 외주(하청)의 비율이 높아 생산성이 높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외주 인력까지 고려한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철도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서유럽 국가의 노동생산성이 낮게 나타난 것은 직접고용에 따른 고용의 질이 높은 반면 수치상 생산성은 낮게 나타난 것일 수 있음



* 자료출처

- 자료: 해외철도: UIC(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 국제철도통계 각 년도
국내철도: 철도통계연보 각 년도
- 출처: 철도산업정보센터 통계자료실(http://www.kric.go.kr/jsp/handbook/sta/statisticsTechList.jsp)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SNS로 해당 게시물을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링크를 제공하고있는 프로그램 표
이전글 도로종류별 교통사고 현황(2015년 기준)
다음글 고령 운전자에 대한 인식과 안전대책 방안은?

이 페이지를 보시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빠른 답변 하겠습니다.